31.8조 추경안 국회 통과! 민생지원금 소비쿠폰 1인당 최대 55만원 지급
이재명 정부 추경안 국회 통과! 1인당 최대 55만 원 소비쿠폰 받는 법 총정리
최소 15만 원부터 최대 55만 원까지! 누구에게, 언제, 어떻게 지급될까?
2025년 7월 5일, 31조 7,914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전국민 소비쿠폰 지급이 공식화됐습니다.
이번 추경은 민생 회복과 경기 진작을 위한 조치로,
특히 소득 하위 90% 국민을 중심으로 차등 지원이 이뤄집니다.
최소 15만 원부터, 조건 충족 시 최대 55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소비쿠폰—
그 지급 기준과 시기, 대상별 금액을 총정리해드립니다.
31.8조 원 추경안, 어떤 내용일까?
이번 추경은 이재명 정부 들어 첫 추가경정예산으로,
당초 정부안(30.5조 원)보다 약 1.3조 원 증액된 규모입니다.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금액 및 주요 내용
전체 추경 규모 | 31조 7,914억 원 |
민생 소비쿠폰 예산 | 12조 1,709억 원 (원안 대비 약 1.8조 증액) |
검찰·대통령실 등 특활비 | 105억 원 증액 (야당 일부 반발 속 통과) |
환경·보육 지원 등 기타 | 무공해차 보급 확대 +1,050억 원 / 영유아 보육 +1,131억 원 증액 |
소비쿠폰 예산이 전체 추경의 약 38% 이상을 차지하며,
전국민 경제 회복을 위한 핵심 재정 투입 항목입니다.
소비쿠폰,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소득과 거주 지역에 따라 1인당 최소 15만 원 ~ 최대 55만 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구분 1차 지급 2차 추가 지역 가산 총 수령액
상위 10% 소득자 | 15만 원 | 없음 | 없음 | 15만 원 |
일반 국민 (하위 90%) | 15만 원 | +10만 원 | +3~5만 원 | 최대 53만 원 |
차상위계층 | 15만 원 | +25만 원 | +3~5만 원 | 최대 55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15만 원 | +30만 원 | +3~5만 원 | 최대 55만 원 |
지역 가산금 기준
– 비수도권 거주자: +3만 원 추가
– 농어촌/인구소멸지역 거주자: +5만 원 추가
지급 시기와 방식은 어떻게 되나?
소비쿠폰 지급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정 구분 시기 지급 대상 및 내용
1차 지급 | 2025년 7월 중순 시작 | 전 국민 1인당 15만 원 지급 |
2차 지급 | 2025년 8~9월 중 예정 | 소득 하위 90% 대상 10만~30만 원 차등 지급 |
지급 방식 | 선택 가능 |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중 택1 |
각 지자체는 해당 지자체 기준에 따라 신청 방식과 수령 방식 공지 예정이며,
자동 지급 또는 신청 기반 지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지역별 안내는 추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왜 '소득 하위 90%'만 추가 지원되나?
정부는 이번 추경의 목적을
“소비 촉진과 경기 부양의 기폭제로 삼는다”고 밝혔습니다.
상위 10%는 소비 여력이 충분하다는 전제 아래
2차 지원에서 제외되었으며,
하위 계층에는 지원금이 더욱 집중되는 구조로 설계됐습니다.
또한 지역 가산을 둔 배경은 지방 소비 활성화와 인구 균형 회복을
병행하려는 정책 의도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소비쿠폰 지급, 이렇게 정리됩니다
항목 내용 요약
총 추경 규모 | 31.8조 원 |
소비쿠폰 총 예산 | 12.1조 원 (1.8조 증액) |
1인당 지급액 기준 | 15만 원 ~ 최대 55만 원 차등 지급 |
지급 시기 | 1차: 7월 중 / 2차: 8~9월 중 예정 |
지급 방식 | 지역화폐, 카드 포인트, 선불카드 중 선택 가능 |
지역 가산 지원 | 비수도권: +3만 원 / 농어촌·소멸지역: +5만 원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