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정책
아동수당 만 18세 미만 전 가구 대상 연장 계획! 2025년 개편 주요 내용 완전정리
리치메이커 유노이안
2025. 7. 10. 12:05
반응형
아동수당 연령 확대될까? 2025년 만 18세 연장 계획과 현행 정책 총정리
아동수당 지금도 받을 수 있나요? 만 18세 확대는 언제부터?
2025년 현재 기준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0~95개월) 아동에게만 지급됩니다.
정부는 아동수당의 보편적 확대를 장기 검토 과제로 유지하고 있으나,
아직 만 18세까지 확대 시행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기존 연령과 신청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현재 아동수당 지급 대상은 누구?
아동수당은 대한민국 국적의 만 8세 미만 아동 1인당 월 10만 원씩 지급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출생일부터 95개월 되는 달의 말일까지만 지급되며,
기준 초과 이후에는 자동 지급 중단됩니다.
구분 내용
지급 연령 | 만 0세~만 7세 (95개월) |
지급 금액 | 월 10만 원 |
지급 방식 | 부모 또는 보호자 계좌로 현금 입금 |
신청 방법 | 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소급 신청 조건 |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일 기준 소급 지급 가능 |
아동수당, 정말 만 18세까지 늘어나나?
그동안 여야 정당과 복지부를 중심으로 만 18세까지 확대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산 확보, 대상자 범위 조정 등의 문제로 인해
아직 법 개정이나 시행 시점은 미정이며, 단기 시행은 어려운 상태입니다.
항목 현황
만 18세 확대 여부 | 장기 검토 중, 현재 시행 계획 없음 |
법 개정 진행 상황 | 보건복지부·국회 논의 중, 확정 단계 아님 |
예상 적용 시기 | 2026년 이후 또는 차기 정부 과제로 이관 가능성 |
아동수당 외에도 받을 수 있는 육아지원제도는?
아동수당과 함께 다양한 연령별 육아 지원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도명 대상 연령 월 지원금액 비고
양육수당 | 24개월~86개월 | 10만~20만 원 | 어린이집 미이용 시 지급 |
보육료 지원 | 0~5세 | 월 24만~50만 원 | 어린이집 이용 시 자동 감면 적용 |
초등돌봄교실 | 초1~초6 | 오후 5시~9시 운영 확대 | 맞벌이 가정 위주, 지자체 신청 필요 |
부모급여(0~1세) | 만 0~1세 | 최대 100만 원(24개월까지) | 2025년 기준 부모급여 유지 |
아동수당 신청 방법, 꼭 챙기세요
신청은 아동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진행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하나만 선택해서 신청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
- 오프라인 신청: 동주민센터 또는 읍면동 주민자치센터
- 필요서류: 보호자 신분증,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 신청하면 소급 지급 가능,
그 이후 신청 시 소급 불가하니 반드시 시기를 지켜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답변
Q. 만 8세 넘은 아이는 아동수당 못 받나요? | 네, 2025년 기준 95개월(만 8세 미만)까지만 지급됩니다. |
Q. 양육수당과 아동수당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 어린이집 미이용 시 양육수당과 중복 불가, 하나만 선택됩니다. |
Q. 부모 모두 외국인인데 아이만 한국 국적이면? | 아이가 한국 국적이면 아동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
Q. 예비 부모인데 신청 미리 가능한가요? | 출생 후 주민등록번호가 발급되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권장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