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문화예술패스 추가 발급 시작! 공연·전시 관람비 15만 원 지원
청년문화예술패스 추가 발급 시작! 2006년생이라면 15만 원 혜택 바로 신청하세요
공연·전시 관람비 최대 15만 원 지원, 지금부터 11월까지 선착순 접수 중입니다
2025년 상반기에 발급을 놓쳤거나, 발급만 받고 사용하지 못한 2006년생 청년들을 위해
청년문화예술패스 추가 발급이 시작됐습니다.
전국 만 19세 청년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뮤지컬·콘서트·전시까지
풍성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1인당 최대 15만 원 지원이 제공됩니다.
선착순 조기 마감이 예상되니 서둘러 신청하세요.
2006년생 전용! 추가 발급 대상 요건 안내
추가 발급 대상은 2025년 기준 만 19세인 2006년생 청년(2006.01.01~12.31)입니다.
주민등록상 국내 거주 대한민국 국적자면 누구나 가능하며,
상반기 발급자라도 미사용 이력이 있다면 다시 신청 가능합니다.
문화생활에 관심은 있었지만 시기를 놓쳤다면 이번이 마지막 기회입니다.
지원 금액은 얼마? 어떤 콘텐츠에 사용할 수 있나요?
청년문화예술패스는 총 최대 15만 원 상당의 문화포인트가 제공됩니다.
기본 국비 10만 원은 즉시 지급되며,
지자체별로 차등지급되는 지방비 5만 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뮤지컬, 연극, 클래식, 오페라, 전시회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온라인 예매 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영화·아동 체험전·팬미팅·강연·축제 등은 사용 불가하니 신청 전에 관람 콘텐츠도 꼭 확인하세요.
신청은 어디서? 예매는 어떻게?
신청은 청년문화예술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세요.
-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이트 접속 후 회원가입
- 본인인증(K-아이디핀, 공동인증서 등 가능)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자격 검증 후 포인트 발급 완료
예매는 반드시 신청 당시 선택한 플랫폼(Yes24 또는 놀티켓) 계정으로만 가능하며, 변경은 불가합니다.
발급일 기준으로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므로
기한 내에 꼭 예매하고 관람까지 마쳐야 합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요약 표
항목 내용
지원 대상 | 2006년생(만 19세), 국내 거주 대한민국 국적자 |
신청 기간 | 2025년 7월 7일(10시) ~ 11월 30일 |
지원 내용 | 1인당 최대 15만 원(국비 10만 원 + 지방비 5만 원) |
사용처 | 공연, 콘서트, 오페라, 전시 등 예술 콘텐츠 (강연·영화 제외) |
예매 플랫폼 | Yes24 또는 놀티켓(선택 필수, 변경 불가) |
사용 기한 | 2025년 12월 31일(관람일 기준)까지 사용 완료 |
중복 신청 여부 | 상반기 미사용자는 추가 신청 가능 |
지금 챙겨야 할 사용 꿀팁
문화포인트를 잘 활용하려면 이벤트 기간과 할인 공연 정보도 함께 체크하세요.
7월 13일까지는 첫 예매자 대상 이벤트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국공립 예술기관에서는 30~50% 추가 할인까지 제공됩니다.
대표적으로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대구오페라축제, 세종문화회관 기획공연 등은 빠르게 매진될 수 있으니
예매 가능한 공연 정보를 미리 캘린더에 등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문화생활,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올해 단 한 번뿐인 2006년생 대상 청년문화예술패스 추가 발급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놓친 청년에게 주어진 특별한 두 번째 기회입니다.
한 번의 신청으로 15만 원의 혜택을 받고,
뮤지컬 한 편, 전시 하나, 클래식 공연까지 즐길 수 있는
여유로운 문화생활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발급은 선착순이므로 서두르시고, 공연은 여유롭게 즐기세요!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지원금 완전정리: 2년간 최대 480만 원 (2) | 2025.07.08 |
---|---|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완벽 해설 : 자격부터 지원 방법까지 총정리 (2) | 2025.07.07 |
31.8조 추경안 국회 통과! 민생지원금 소비쿠폰 1인당 최대 55만원 지급 (0) | 2025.07.05 |
이재명 지원금이라는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과 지급 일정 총정리 (1) | 2025.07.03 |
한부모가정 필독! 양육비 선지급제 신청 조건과 혜택 안내 (1) | 2025.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