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수급자 요금 감면 총정리! 전기, 수도, 통신비부터 TV 수신료까지
2025년 최신 기준, 꼭 챙겨야 할 기초생활수급자 공공요금 감면 혜택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는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한 다양한
공공요금 감면 및 급여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전기요금부터 통신비, 수돗물, TV 수신료까지
각종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 항목과 신청 방법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릴게요.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기초생활 안정의 핵심
기초생활수급자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제도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입니다.
소득·재산 기준에 따라 지원되며, 출산·사망 시에는 해산·장제급여,
자립을 위한 자활급여도 추가 제공됩니다.
모든 급여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기초생활 수급자의 각종 급여 혜택이 궁금하다면? 여기서 확인!
기초생활수급자 주거, 생계, 의료, 교육 등 급여 혜택 총정리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 꼭 챙겨야 할 복지 급여는?생계·주거·의료·교육… 어떤 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면 다양한 정부 복지 혜택을받을 수 있습니다.
info.getrichinfo.com
급여 항목 지원 내용
생계급여 | 최저생계비 미달 시 현금 지원 |
의료급여 | 진료비, 약값, 치과·한방 포함 본인부담금 감면 또는 면제 |
주거급여 | 임대료 지원 또는 자가 보수비 지원 |
교육급여 | 입학금, 교재비, 학용품비 등 지원 |
해산·장제급여 | 출산·사망 시 1회성 금전 지원 |
자활급여 | 자활참여자 활동비·훈련비 지급 |
바우처·서비스 혜택도 꼭 챙기세요
단순 금전 급여 외에도 다양한 바우처 제도가 있어
문화, 에너지, 주거, 법률 등 생활 전반에 도움을 줍니다.
혜택명 상세 내용
문화누리카드 | 공연·영화·도서·관광·체육 등 연 14만 원까지 사용 가능 |
에너지바우처 | 계절별 난방·전기·가스 비용 감면 목적, 금액 차등 지급 |
공공임대주택 우선 | 국민·영구 임대주택 신청 시 우선 배정 |
양곡 지원 | 쌀 등 월 10kg 내외 할인 공급 |
법률·신용 지원 | 무료 소송·법률 상담, 신용회복·채무조정 서비스 포함 |
학자금 대출 지원 | 대출 우대, 취업 후 상환 전환 가능 |
공공요금 감면 항목별 요약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전기·가스·수도·폐기물 요금이 감면됩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는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감면을 받습니다.
항목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전기요금 | 월 16,000원 감면 (여름철 20,000원) | 월 10,000원 감면 (여름철 12,000원) |
도시가스요금 | 취사비 1,680원, 난방 월 최대 24,000원 감면 | 취사비 840원, 난방 월 최대 12,000원 감면 |
상하수도요금 | 기본 요금 면제 또는 10㎥ 이하 무상 공급 | 지자체별 동일 또는 부분 감면 |
종량제봉투 | 1인당 월 40L 기준 무료 제공 | 일부 지자체는 추가 혜택 없음 |
※ 지자체 조례에 따라 감면 수준이 차이 날 수 있으므로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확인 필수
기초생활 수급자 신청 기준과 자격조건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확인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완벽 해설 : 자격부터 지원 방법까지 총정리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완벽 해설! 자격부터 지원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2025년 최신 기준으로 확인하는 생계·주거·의료급여 자격 안내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한 대표 복지 제도인 기초생
info.getrichinfo.com
통신비·인터넷 요금 감면도 놓치지 마세요
정보 접근 격차 해소를 위한 통신요금 감면도 폭넓게 지원됩니다.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항목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기본요금 | 월 26,000원 감면 | 월 11,000원 감면 |
음성·데이터 요금 | 각각 50% 감면 (월 최대 41,000원 한도) | 각각 35% 감면 (월 최대 30,000원 한도, 4회선까지) |
초고속 인터넷 | 30% 감면 | 동일 적용 가능 |
시내·인터넷 전화 | 기본요금 면제 + 무료 통화 시간 제공 | 일부 항목 적용 (통신사별 확인 필요) |
기타 수수료 면제 항목
생활 속 숨어 있는 요금 항목도 대부분 면제됩니다.
한두 번이라도 꼭 체크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항목 감면 내역
주민세(균등분) | 전액 면제 |
TV 수신료 | KBS 수신료 면제 (월 2,500원 수준) |
자동차 검사 수수료 | 종합·정기 검사비 면제 |
주민등록 등·초본 수수료 | 발급비 전액 면제 |
감면 혜택 요약 한눈에 보기
분야 혜택 요약
현금급여 | 생계, 의료, 주거, 교육, 해산·장제, 자활 등 |
생활지원 | 문화누리카드, 에너지바우처, 임대우선권, 양곡, 법률·신용 지원 |
요금감면 | 전기·가스·수도·종량제·TV수신료·주민세·통신·인터넷 등 전방위 감면 적용 |
통신비 | 최대 41,000원 한도 감면, 음성·데이터·기본료 전방위 지원 |
기타혜택 | 수수료 면제, 주민세 면제, 검사비 면제 등 숨은 비용 절약 가능 |
신청 팁과 주의사항
- 주민센터 신청 필수: 대부분 감면은 자동 적용되지 않음
- 지자체별 지원 다름: 관할 지자체에 따라 물·쓰레기·주거지원 수준 상이
- 통신사별 조건 확인: 감면 가능 요금제·회선 수 등 상세 조건 존재
- 정기 갱신 필요: 급여 수급자격 유지와 재심사 누락 주의
- 정보 변경 시 신고: 소득, 거주지 등 변동 시 빠른 신고 필요
다음 단계 가이드
- 주민센터 방문 후 상담 → 급여·감면 항목 여부 확인
- 각 기관 신청 진행
전기: 한전 고객센터
통신: 통신사 지점 또는 고객센터
가스: 지역 도시가스사
TV 수신료: KBS 시청자센터 - 정기 재심사 일정 관리 → 혜택 누락 방지
'돈되는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보험료 비교견적 사이트 TOP 5 완전분석 (3) | 2025.07.18 |
---|---|
최대 월 33,000원 지원받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과 절차 총정리 (0) | 2025.07.18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 생계, 의료, 교육 등 급여 혜택 총정리 (1) | 2025.07.17 |
2025년 재산세 납부 기간 반드시 확인! 연체 시 가산세 폭탄! (2) | 2025.07.17 |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한, 연체 시 불이익은? (1) | 2025.07.16 |
댓글